TECH M
TECH M
중국의 OLED 공습…LCD 이어 OLED도 위협받는 한국 디스플레이
[앵커멘트]
올레드 후발주자였던 중국이 LCD에 이어 올레드까지 대대적으로 투자에 나서면서 매서운 추격에 나섰습니다. 중국의 저가 LCD 공세에 한국 기업들이 주력 사업을 LCD에서 올레드(OLED)로 전환을 서두르는 상황에서 차세대 먹거리인 올레드마저 중국에 쫓기게 됐습니다. 조은아 기자가 보도합니다.
[기사내용]
LCD 시장을 잠식한 중국 업체들이 빠르게 올레드(OLED) 투자를 늘리며 한국 디스플레이를 추격하고 있습니다.
중국의 디스플레이 업체 비전옥스는 지난달 말 광저우에 6세대 AMOLED 모듈 생산라인 건설 계획을 공개했습니다.
지난해 허페이 6세대 올레드 패널 생산라인 투자 규모까지 합치면 비전옥스의 올레드 투자금은 9조원이 넘습니다.
HKC도 후난성에 8.6세대 올레드 생산라인 착공을 시작했습니다.
이곳의 투자규모는 5조 4,000억원 수준으로 오는 2021년부터 TV용 대형 올래드 패널을 생산하겠다는 계획입니다.
대대적인 공세에 소형 올레드 디스플레이는 우위를 유지할 수 있는 시간이 얼마 남지 않았다는 평가도 나옵니다.
95%가 넘던 삼성디스플레이의 중소형 올레드 패널 시장 점유율이 최근 90% 밑으로 떨어진 것도 그 방증입니다.
플라스틱 기판의 휘는 중소형 올레드는 2~3년이면 따라잡힐 수 있다는 분석도 있습니다.
[주병권/ 고려대 전기전자공학부 교수 :
소형, 유리 기판 위에 만들어진 OLED가 중국에서 볼 때 가시권 내에 있다. 그 기간은 길어야 2년 정도가 되지 않을까 생각하고 있습니다.]
TV용 대형 올레드 패널도 안심할 수 없습니다.
현재 전세계 유일한 대형 올레드 패널 생산자인 LG디스플레이는 선제적인 투자를 진행해왔지만 아직 시장 규모가 작아 수익성을 확보하지 못하고 있습니다.
삼성디스플레이는 퀀텀닷-유기발광다이오드(QD-OLED)에 약 13조원 규모 투자를 할 예정이지만, 아직 QD-OLED는 완성형 기술이 아닌데다 탕정 사업장의 생산라인을 교체하는 데 2년여의 시간이 소요될 전망으로 갈 길이 멉니다.
아직까지는 기술 우위에 있지만, 중국의 대대적인 투자로 수율과 가격경쟁력을 따라잡힌다면 LCD에 이어 또다시 추격을 허용할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오고 있습니다.
머니투데이방송 조은아입니다.
조은아 머니투데이방송 MTN 기자
-
대만·태국서도 네이버페이로 결제한다네이버 자회사 네이버파이낸셜은 일본에 이어 대만과 태국의 오프라인 상점에서도 네이버페이로 간편하게 결제할 수 있는 기능을 내년 1분기부터 점진적으로 선보일 예정이라고 4일 발표했다.네이버파이낸셜은 지난 3일 '모바일 페이먼트 크로스보더 얼라이언스 서밋 포럼'에 참석해 대만과 태국에서도 '크로스보더 모바일 결제 서비스'를 사용하도록 하겠다는 계획을 밝혔다.이에 따라 일본에 이어 대만과 태국의 오프라인 상점에서도 네이버페이로 결제가 가능해졌다. 해당 서비스는 내년 1분기부터 점진적으로 시작된다.2019-12-05 16:47:07박수연 기자
-
리디, 압도적인 휴대성 확보한 전자책 ‘리디페이퍼’ 선보여콘텐츠의 디지털화를 추진하는 리디 주식회사가 전자책 단말기 리디페이퍼 3세대를 선보였다. 크기와 무게를 줄여 휴대성을 확보함과 동시에 새로운 화면기술을 적용해 전자책의 단점으로 지적되던 페이지 넘김 속도와 글씨 선명도를 향상시켰다.리디는 5일 서울 강남구 북쌔즈 카페에서 기자간담회를 열고 전자책 단말기 리디 페이퍼 3세대를 소개하는 자리를 가졌다.리디 페이퍼 3세대는 기존 제품 대비 페이지 넘김 시간을 단축시켰다. 전자책에 이용되는 종이잉크 기술의 경우 입자의 이동을 통해 화면이 구현돼 상대적으로 느리다. 리디 페이퍼는2019-12-05 11:23:04김태환 기자
-
휴대폰 단속 전횡 일삼는 'KAIT'… 차별 단속에 처벌 기준 모호[앵커멘트]한국정보통신진흥협회(KAIT)는 휴대폰판매점들에게 자격 인증을 부여하는 역할 외에 통신시장에서 일어나는 각종 불법행위를 단속·제재하는 일까지 도맡아 하고 있습니다. 그런데 속을 들여다보면 처벌 기준이 모호한데다 단속도 제멋대로 한다는 얘기가 흘러 나오고 있습니다. 이로인해 휴대폰판매점들의 불만이 극에 달하고 있습니다. 이명재 기자가 취재했습니다.[기사내용]4년 동안 안산 지역에서 휴대폰 매장을 운영한 박모씨.갑자기 통신3사 대리점들로부터 '단말기 판매 장려금을 지급하지 않겠다, 거래2019-12-04 10:00:50이명재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