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ECH M
TECH M
KT, 신기술로 실내·지하 5G 커버리지 확대
KT가 5G RF 중계기의 성능·효율을 극대화한 ‘5G 스마트 빔 패턴 동기화 기술’을 상용화하고, 5G의 실내와 지하 커버리지를 확대한다고 18일 밝혔다.
이동통신업계에 따르면 무선 네트워크에서는 하나의 장비에서 동시에 송신과 수신을 하기 위해 자원 분할을 통한 다중통신방식을 사용한다.
5G는 일반적으로 TDD(Time Division Duplex, 시간 분할 방식)를 사용하고 있어 기지국과 RF 중계기 간의 통신을 위해 동기 신호 획득이 필수다.
도심처럼 기지국이 촘촘하게 설치돼야 하는 지역은 아날로그 동기 방식을 활용해 신호를 획득하는 것이 디지털 동기방식보다 유리하다. 하지만 아날로그 방식의 경우 정확한 동기 신호 추출이 어려워 상용화할 수 없었다.
반면 디지털 동기 방식은 정확한 신호 추출이 되지만, 중계기 하드웨어 구조가 복잡하고 가격이 비쌌다. 게다가 복잡한 방식으로 인해 나타나는 지연(Latency) 문제와 전파 혼재 지역에서 동기 정확도가 급격히 저하되는 단점도 있었다.
KT의 ‘스마트 빔 패턴 동기화 기술’은 아날로그와 디지털 두 가지 방식의 장점만을 통합했다. 복잡한 디지털 신호처리부가 없어도 지능형 동기화 알고리즘을 h할용해 정확한 동기 신호 추출을 할 수 있다.
기존 아날로그 방식의 장점인 간섭 극복과 초저지연 성능은 유지하면서도 디지털 방식과 동등한 수준의 정확도를 구현한 것이다.
특히 해당 기술을 적용하면 중계기 장비 내부 지연을 발생시키는 전자부품의 설계 최소화로 하드웨어 구조가 단순화돼 지연시간(Latency)이 50% 줄어든다. 장비의 소비전력과 발열도 감소한다.
또 중계기 장비의 소형화가 가능해져 설치 장소의 제약이 줄고, 중계기 단가 감소로 국소 당 투자비가 줄어들게 됨으로써 보다 많은 지역에 5G 인빌딩 커버리지 투자가 가능하다.
KT는 해당 기술의 특허 출원을 완료하고, 상용 5G 기지국, 단말과의 연동에 성공했다.
이수길 KT 네트워크연구기술지원단장 상무는 “이번 5G RF 중계기 개발 성공은 5G 1등 커버리지를 위한 KT의 아이디어와 국내 중소기업과 상생 협력을 통한 성과”라며 “앞으로도 1등 커버리지와 품질을 동시에 만족시킬 수 있는 신기술을 지속 개발해 5G 기술을 선도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김태환 테크엠 기자 kimthin@techm.kr
-
중국 내 전기차 배터리 빗장 풀리나 …LGㆍSK도 동등 경쟁[앵커멘트]국내 배터리 업계가 중국 시장에서 현지 업체들과 동등하게 경쟁할 수 있게 됐습니다. 그동안 중국 정부는 자국 배터리 산업을 키우기 위해 해외 배터리를 장착한 전기차에는 보조금을 주지 않았는데요. 최근 보조금 지급 목록에 LG화학, SK이노베이션 배터리를 장착한 전기차도 포함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김주영 기자입니다.[기사내용]중국 정부가 한국을 비롯해 해외 배터리를 장착한 전기차에도 보조금을 지급할 것으로 알려졌습니다.배터리 업계에 따르면 중국 정부가 6일 발표한 '2019년 11차 친환경2019-12-10 09:23:52김주영 기자
-
'성능·안전' 모두 잡은 한국형 원자로, 수출 '첨병" 역할한다[앵커멘트]최근 우리 기술로 직접 개발해 미국과 유럽에서 안전성을 인정받은 원자로가 적용된 원전이 본격적인 가동에 들어갔습니다. 체코와 폴란드, 영국 등 원전건설을 예정한 국가에 수출할 수 있는 전략모델인데 해당국들도 큰 관심을 기울였습니다.문수련 기자입니다.[기사내용]설비 용량 1.4GW의 한국형 신형 원자로가 최초로 적용돼 가동을 시작한 신고리 3,4호기.7조5000억원을 투입해 순수 우리 기술로 개발한 신형원자로APR 1400은 통상 1GW 였던 설비용량을 1.4GW로 40% 끌어올렸고, 수명 또한 62019-12-10 09:17:00문수련 기자
-
모빌리티 선점 나선 '카카오·티맵'…존폐 기로 '타다'와 대조[앵커멘트]일명 '타다 금지법'으로 불리는 여객사업법 개정안이 국회 본회의 통과만을 앞두고 있는 가운데 타다는 말 그대로 존폐 기로에 서 있습니다. 반면 카카오모빌리티 등 다른 모빌리티 업체들은 연말 특수를 맞아 공격적인 마케팅에 나서며 대조를 이루는 모습입니다. 박수연 기자입니다.[기사내용]지난주 '타다금지법' 개정안이 국회 국토교통위원회 교통법안심사소위를 통과하자 업계 셈법도 복잡해지고 있습니다.렌터카를 기반으로 영업하는 '타다'를 비롯해 유사 서비스를 하는 &2019-12-10 09:12:33박수연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