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ECH M
TECH M
유기 물질로 자석 만든다…국내연구진 개발, MRI 조영제 등 활용폭 넓어
국내 연구진이 금속이 아닌 유기 물질에서 자석처럼 자성을 띠도록 만드는 방법을 개발했다.
UNIST 백종범·유정우·박노정 교수 공동연구팀이 탄소 물질(유기물)이 상자성을 갖도록 합성하는 데 성공했다고 14일 밝혔다. 탄소 구조체 내부에 구멍 형태로 결함(hole defects)을 만들자 외부 자기장을 받고 자성을 띤 것이다. 이에 따라 상자성을 띠는 탄소 구조체를 대량으로 합성할 수 있다. 또 이 물질이 자성을 띠는 이론적 원리도 규명했다.
물질이 자기적 성질인 자성을 띠는 것은 원자 속 전자의 스핀(spin) 운동에 의해 결정된다. 스핀 방향이 외부 자기장 방향과 일치하면 자석 성질이 나타난다. 탄소 원자가 육각형으로 잘 정렬된 그래핀(graphene)은 스핀 방향과 외부 자기장 방향이 서로 반대여서 자성이 나타나지 않는다.
그런데 이번에 개발한 새로운 합성법을 이용하면 그래핀과 유사한 구조의 탄소 물질에서도 상자성을 띠게 만들 수 있다. 탄소 물질의 합성온도를 낮추면서 대량 합성에도 성공해 앞으로 응용에도 유리할 전망이다.
백종범 교수 공동연구팀은 물질을 합성할 재료로 아세틸기가 달린 단량체를 써서 비교적 낮은 온도인 500℃에서 반응을 유도해, ‘2차원 탄소 박막(graphitic carbon nanosheets)’을 대량으로 합성했다. 이때 분자에서 수소와 산소를 제거하는 탈수반응과 다른 원자를 탄소를 바꾸는 탄화반응을 동시에 진행했다. 그 결과로 ‘구멍 결함’과 ‘하이드록시기’가 나타났다. 연구팀은 실험과 이론 분석을 통해 두 요소가 탄소 박막에 상자성을 가져온 원인임을 밝혀냈다.
제1저자로 연구를 주도한 UNIST 에너지 및 화학공학부 정선민 박사는 “비교적 손쉬운 합성 조건에서 상자성을 갖는 탄소 박막을 대량으로 합성할 수 있어 산업 적용이 쉬울 것”이라며 “MRI 조영제로 유기물을 이용하는 연구는 물론, 합성 물질에 구멍이 많다는 다공성을 이용해 흡착물질이나 전극 재료 등 다양한 방면으로도 활용할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백종범 교수는 “이번 연구는 이론적 계산과 실증을 병행함으로써, 탄소 물질 내 결함이 자성과 어떤 연관이 있는지 근본적으로 푸는 실마리를 제공할 것”이라고 기대했다.
이번 연구는 화학 분야에서 세계적인 학술지인 앙게반테 케미(Angewandte Chemie International Edition)의 VIP(Very Importnat Paper)논문과 속표지(inside cover)로 선정돼 8월 12일자로 출판됐다.
박응서 테크엠 기자 gopoong@techm.kr
-
스페이스체인, 블록체인 기술 우주정거장으로 발사스페이스체인이 6일 블록체인 하드웨어 월렛(wallet) 기술이 스페이스X 팔콘 9 (SpaceX Falcon 9)로켓을 통해 국제 우주정거장(ISS)으로 발사 됐다고 발표했다.이번 발사를 통해 스페이스체인은 우주정거장상의 블록체인 하드웨어를 구현한 첫번째 기술 시연으로 우주정거장의 나노랙스(Nanoracks) 커머셜 플랫폼에 설치할예정이다.스페이스 체인 기술이 활성화 되면 페이로드는 블록체인 트랜잭션에 대한 수신, 인증, 재송신 등을 통해 다중 서명(multisig) 트랙잭션을 생성하게 된다. 다중 서명은 완료를 위해서2019-12-06 11:02:00김태환 기자
-
방통위, 망사용료 가이드라인 내놨지만… 통신사·CP 갈등의 골만 깊어져[앵커멘트]정부가 사업자간 다툼을 해소하고 이용자 피해를 방지하기 위해 망사용료 가이드라인 초안을 공개했습니다. 통신사와 인터넷기업에게 의무를 부과하고 계약과정상 불공정행위 유형을 명시하는 등 구체적인 내용을 담았는데요. 그러나 정부 가이드라인에 대해 통신사는 실효성이 적다며 내용 보완을 요청했고 인터넷기업들은 도입 자체를 반대하는 등 입장차가 상당합니다. 이명재 기자의 보도입니다.[기사내용]방송통신위원회가 망사용료 가이드라인 초안을 공개한 가운데 주요 내용을 놓고 돈을 받는 통신사와 비용을 지급하는 인터넷기업간 대립2019-12-06 10:47:51이명재 기자
-
대만·태국서도 네이버페이로 결제한다네이버 자회사 네이버파이낸셜은 일본에 이어 대만과 태국의 오프라인 상점에서도 네이버페이로 간편하게 결제할 수 있는 기능을 내년 1분기부터 점진적으로 선보일 예정이라고 4일 발표했다.네이버파이낸셜은 지난 3일 '모바일 페이먼트 크로스보더 얼라이언스 서밋 포럼'에 참석해 대만과 태국에서도 '크로스보더 모바일 결제 서비스'를 사용하도록 하겠다는 계획을 밝혔다.이에 따라 일본에 이어 대만과 태국의 오프라인 상점에서도 네이버페이로 결제가 가능해졌다. 해당 서비스는 내년 1분기부터 점진적으로 시작된다.2019-12-05 16:47:07박수연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