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ECH M
TECH M
'新 가전'으로 성장 돌파구 찾는다
[앵커멘트]
냉장고나 세탁기 같은 전통 가전제품 시장에서 성장에 정체를 빚고 있는 전자회사들이 이른바 '신(新) 가전'으로 새로운 돌파구 찾기에 나섰습니다. 공기청정기나 의류관리기에 이어 이제는 집에서 맥주를 만들 수 있는 수제 맥주 제조기까지 등장했습니다. 고장석 기자입니다.
[기사내용]
정수기에서 물이 나오듯 수제 맥주가 쏟아집니다.
원하는 맛의 맥주 캡슐을 골라 넣으면 집에서도 손쉽게 맥주를 만들어 마실 수 있습니다.
LG전자가 직접 맥주를 만들어 즐기고 싶어하는 셀프족을 겨냥해 출시한 수제 맥주 제조기. 홈브루입니다.
[정순기 / LG전자 H&A사업본부 정수기사업담당 : 맥주 기기에 캡슐과 물을 넣으면 발효, 탄산화, 숙성 과정 등 까다롭고 복잡한 맥주제조 전 과정을 자동화한 혁신적인 제품입니다. 가정에서 손쉽게 수제맥주를 만들어 드실 수 있는 문화를 만들었다고 생각합니다.]
공기청정기나 의류 관리기처럼 전통적인 가전제품에서 벗어난 제품을 '신(新) 가전제품'이라고 부르는데, 한단계 더 나아가 수제 맥주 제조기까지 등장한 겁니다.
신 가전 제품 개발에 한발 앞서 뛰어든 LG전자는 지난해 글로벌 시장에서 공기청정기·정수기·건조기·스타일러 등의 매출을 41%나 끌어올렸습니다.
삼성전자도 지난해 의류관리기과 건조기를 선보이며 신 가전 사업에 뛰어들었습니다.
삼성전자 측은 "지난 1분기 생활가전 사업에서는 시장 수요가 감소했지만 신 가전 판매 호조로 지난해 같은 기간 대비 실적이 개선됐다"고 밝혔습니다.
가전업계는 기존 가전 시장이 포화 상태에 이른 만큼, 신 가전 개발로 새로운 시장을 개척하겠다는 목표입니다.
다음 세대의 신 가전제품으로 식물재배기, 아이스크림제조기,협탁 냉장고, 탈모치료 의료기기 등이 꼽히는 가운데 과연 누가 먼저 시장을 열지 업계의 관심이 쏠리고 있습니다.
머니투데이방송 고장석입니다.
고장석 머니투데이방송 MTN 기자
-
정부, 내년부터 비트코인 등 가상자산에 소득세 부과 추진비트코인, 이더리움 등 암호화폐가 '가상 자산'으로서 제도권 편입 논의가 활발한 가운데, 내년부터 가상자산 거래에도 소득세가 부과될 전망이다.9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기획재정부 등 정부는 가상자산 소득세 과세 방침을 정하고 내년 세법 개정안에 구체적인 과세 방안을 마련할 계획이다.기재부는 "소득이 있는 곳에 과세가 있다"게 기본 방침이지만 그간 암호화폐의 정의가 명확히 내려지지 않아 과세 방안 구성에 모호함이 있었다.이런 가운데 가상화폐를 가상자산으로 명명하고, 암호화폐 관련 사업자의2019-12-10 09:09:14황이화 기자
-
"대기발령자 전원 내부 수용"...넥슨 인력재배치 '막전막후'[앵커멘트]매각 불발 후 구조조정을 단행할 것이라는 우려를 샀던 넥슨이 예상과 달리 프로젝트별 인력 정원(TO)을 늘리며 공격적인 사업전개에 나섰습니다. 서정근 기자가 보도합니다.[기사내용]매각을 철회한 후 하반기 들어 조직쇄신에 나선 넥슨.사업조직을 통합한 후 흥행성과가 부진한 게임들의 서비스를 종료하고, 일부 신규 개발 프로젝트의 제작을 중단했는데, 이로 인해 일감을 잃고 대기발령자가 된 개발자들이 300명 가량인 것으로 추산됩니다.이중 상당수가 실직할 것으로 우려됐으나 넥슨은 '메이플스토리2019-12-10 08:58:26서정근 기자
-
LG·SK 배터리 미국·중국에서 대규모 증설…전기차 대중화 성큼[앵커멘트]전기차 배터리의 가격 하락세가 지속되면서 5년 안에 전기차 대중화가 이뤄질 수 있다는 전망이 나오고 있습니다. LG화학, SK이노베이션 등 국내 배터리 회사들은 미국과 중국에 대규모 배터리 공장을 증설하며 급격하게 성장할 전기차 시대를 준비하고 있습니다. 권순우 기자가 보도합니다.[기사내용]전기차가 대중화되는데 가장 걸림돌이 되는 것은 배터리 가격입니다.배터리팩 가격은 1kwh 당 150달러 내외로 전기차 한대에 50~80kwh가 들어가는 점을 배터리 가격만 1천만원이 훌쩍 넘습니다.배터리 가2019-12-09 09:04:49권순우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