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ECH M
TECH M
[테크&가젯] 분실 지갑 열면 자동 촬영?
Multi-Tool
‘볼터맨’은 지갑이다. 물론 기능은 멀티다. 일단 겉모양은 얇고 가볍지만 안에 보조 배터리를 내장했다.
케이블만 연결하면 스마트폰을 충전할 수 있다. 국내에서도 어디서나 인터넷을 쓸 수 있게 에그 같은 제품을 들고 다니기도 한다.
이 지갑은 또 와이파이 핫스팟 기능까지 해낸다. 덕분에 여행이나 출장을 가면 이 제품을 인터넷 연결용으로 쓸 수 있다.
볼터맨은 내부에 GPS를 내장했다. GPS 추적 기능을 이용하면 지갑 위치를 어디서나 추적할 수 있다는 얘기다.
재미있는 건 단순 위치만 추적하는 게 아니라 분실 모드로 바꿀 수 있다. 이 상태가 되면 지갑을 펼칠 때마다 내장 카메라를 이용해 사진을 촬영, 사용자에게 자동 전송한다. 그 밖에 블루투스 알람 시스템을 갖춰 스마트폰 근처에 있을 때에는 거리가 멀어지면 알람 소리로 알려주기도 한다.
Point
중국의 경우 이미 ‘알리페이’ 등 모바일 결제 수단이 확산되면서 아날로그 지갑의 필요성이 점점 줄어들고 있다. 현금은 물론 신용카드 역시 길게 보면 모바일 결제로 상당 부분 대체될 수 있다.
하지만 볼터맨 같은 제품은 꽤 오랫동안 쓰일 가능성이 충분하다. 더구나 GPS나 내장 카메라, 블루투스, 보조 배터리 같은 기능을 이렇게 얇고 가벼운 본체 속에 넣었다는 건 지난 몇 년 사이 모바일화에 맞춰 작고 얇고 가벼워진 부품 발전사를 떠올리게 한다.
앞으로 지금보다 훨씬 얇고 가벼운 휴대용 제품 안에 더 많은 기능이 들어갈 수 있다는 걸 말해주는 것이다.
<본 기사는 테크M 제54호(2017년 10월) 기사입니다>
-
[테크엠 북카페] 자본과 시장은 공유경제가 집어삼킨다 - 유니콘을 만드는 프렌치 스타트업의 비밀대한민국 대표 스타트업 유니콘인 ‘우아한 형제들(배달의 민족)’의 김봉진 대표는 창업 초기 한 달 동안 새벽부터 전단을 주우러 다녔다. 대기업이 전단을 모으기 위해 쓰레기통을 뒤지는 등 바닥을 훑지는 않을 거라는 점에서 이길 수 있다는 확신을 가졌다고 한다.우리나라와 프랑스를 비롯한 전 세계 스타트업계에서 가장 많은 유니콘, 아니 데카콘을 배출하고 있는 분야가 바로 공유경제, O2O 분야다. 어려운 용어가 난무해야만 혁신인 것은 아니다. 자본과 시장은 이미 공유경제의 손을 들어 주고 있다.최근 전 세2019-12-07 16:59:43김태환 기자
-
스페이스체인, 블록체인 기술 우주정거장으로 발사스페이스체인이 6일 블록체인 하드웨어 월렛(wallet) 기술이 스페이스X 팔콘 9 (SpaceX Falcon 9)로켓을 통해 국제 우주정거장(ISS)으로 발사 됐다고 발표했다.이번 발사를 통해 스페이스체인은 우주정거장상의 블록체인 하드웨어를 구현한 첫번째 기술 시연으로 우주정거장의 나노랙스(Nanoracks) 커머셜 플랫폼에 설치할예정이다.스페이스 체인 기술이 활성화 되면 페이로드는 블록체인 트랜잭션에 대한 수신, 인증, 재송신 등을 통해 다중 서명(multisig) 트랙잭션을 생성하게 된다. 다중 서명은 완료를 위해서2019-12-06 11:02:00김태환 기자
-
방통위, 망사용료 가이드라인 내놨지만… 통신사·CP 갈등의 골만 깊어져[앵커멘트]정부가 사업자간 다툼을 해소하고 이용자 피해를 방지하기 위해 망사용료 가이드라인 초안을 공개했습니다. 통신사와 인터넷기업에게 의무를 부과하고 계약과정상 불공정행위 유형을 명시하는 등 구체적인 내용을 담았는데요. 그러나 정부 가이드라인에 대해 통신사는 실효성이 적다며 내용 보완을 요청했고 인터넷기업들은 도입 자체를 반대하는 등 입장차가 상당합니다. 이명재 기자의 보도입니다.[기사내용]방송통신위원회가 망사용료 가이드라인 초안을 공개한 가운데 주요 내용을 놓고 돈을 받는 통신사와 비용을 지급하는 인터넷기업간 대립2019-12-06 10:47:51이명재 기자